-26일차- Deep Network
23년 이전 글/모두의연구소 아이펠

-26일차- Deep Network

[ Pre-trained 모델의 구조 ]

Deep Network

Deep Network의 배경

이미지넷

2010년 ILSVR2010을 시작으로 대량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셋

이미지 데이터 수집 시  167개국에서 5만명의 작업자가 라벨링에 참여

 

이미지 분류에 사용되는 기술들

 

 

이미지 분류 모델 평가에 사용되는 top-5 error와 top-1 error

딥러닝 관련 논문을 보다보면 실험 평가 부분에서 top-5 error와 top-1 error라는 용어들을 심심찮게 발견하게 된다. top-5 error와 top-1 error는 이미지 분류(image classification)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것들..

bskyvision.com

 

 

Evaluation & Calculate Top-N Accuracy: Top 1 and Top 5

I have come across few (Machine learning-classification problem) journal papers mentioned about evaluate accuracy with Top-N approach. Data was show that Top 1 accuracy = 42.5%, and Top-5 accuracy ...

stackoverflow.com

ImageNet이 만들어진 이야기

 

 

어떻게 컴퓨터가 사진을 이해하게 되었는가

어린이가 사진을 볼 때, '고양이', '책', '의자'와 같이 단순한 것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. 이제 컴퓨터도 그런 것을 할 수 있습니다. 그 다음은 뭘까요? 이 흥미로운 발표에서, 컴퓨터 비전 전문가

www.ted.com

 

딥 네트워크

AlexNet

CNN과 클래스가 조금 많이(?) 증가한 네트워크, ReLU와 드롭다웃, 오버래핑 풀링등의 추가

https://papers.nips.cc/paper/4824-imagenet-classification-with-deep-convolutional-neural-networks.pdf

 

 

[CNN 알고리즘들] AlexNet의 구조

LeNet-5 => https://bskyvision.com/418 AlexNet => https://bskyvision.com/421 VGG-F, VGG-M, VGG-S => https://bskyvision.com/420 VGG-16, VGG-19 => https://bskyvision.com/504 GoogLeNet(inception v1) =>..

bskyvision.com

 

CNN 잘쓰기

VGG

2014년 이미지넷 챌린지 준우승 모델

VGG에서는 3X3 커널을 사용해서 더 많은 레이어를 쌓고 이미지의 비선형적 특성을 더 잘 잡아낼 수 있게 만듦

레이어가 많아질때의 연산

입/출력 채널의 수를 각각 C라고 했을 때

커널 크기가 7x7인 CNN 레이어를 한 개 쌓으면 (7x7)×C 2 번 연산

커널 크기가 5x5인 CNN은 (5x5)×C 2의 연산

레이어가 N개 일 때, Nx(3x3)xC 2개의 연산으로 레이어가 3개더라도 5x5인 레이어 1개와 비슷한 연산수를 유지

https://arxiv.org/pdf/1409.1556.pdf

https://bskyvision.com/504

https://m.blog.naver.com/laonple/220686328027

https://ratsgo.github.io/deep%20learning/2017/10/09/CNNs/

 

Vanishing gradient

레이어가 깊으면 데이터에 따른 차이가 충분하게 반영되지 못하며, Gradient가 작아져서

기울기 소실이 발생하게 됨

기울기 소실에 대하여

 

기울기 소실에 대응하는 방법

활성화 함수를 변경하거나, 가중치 초기화 방법을 통해서 기울기 소실을 완화 가능

 

ResNet

VGG-19와 네트워크 비교

Skip Connection

레이어의 입력을 다른 곳에 이어서 Gradient가 깊은 곳까지 이어지도록 함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