구조체
연결구조, 연결리스트, 단일 연결리스트
연결리스트(linked list) 연결리스트 자료구조가 생기게 된 배경 선형리스트(ordered list)의 구현 원소들간의 논리적 관계가 순차적으로 인접해 있는 자료구조의 배열을 이용한 구현함 배열의 적합성 - 주기억장치의 물리적인 구조가 인접되게 구성됨 - 순차적인 기억장소의 표현은 임의의 원소를 탐색하거나 스택이나 큐를 사용할 경우 자료의 삽입/삭제 등의 작업에 효율적임 배열의 부적합성 - 여러 개의 선형리스트를 사용하는 경우 각 리스트를 최대 크기의 배열(선언문에 의해서 고정된 기억장소를 유지)에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기억장소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음 - 순차적인 기억장소 표현이 선형리스트에 적용되면 삽입/삭제 시 자료이동에 따른 처리시간의 비효율성이 발생함 연결리스트 자료구조의 특징 순차 자료구..
구조체와 범용 리스트
구조체 하나 이상의 변수를 그룹 지어서 새로운 자료형(복잡한 데이터 표현)을 정의하는 것 사용자 정의 자료형 - 사용자가 C언어의 기본 타입을 가지고 새롭게 정의할 수 있음 배열은 같은 타입의 변수 집합이지만 구조체는 다양한 타입의 변수 집합을 하나의 타입으로 나타낸 것 구조체의 구성 : 구조체의 멤버 / 멤버 변수 구조체 정의와 선언 struct 구조체이름 { 멤버변수1의 타입 멤버변수1의 이름; 멤버변수2의 타입 멤버변수2의 이름; ………… }; struct 구조체이름 { 멤버변수1의 타입 멤버변수1의 이름; 멤버변수2의 타입 멤버변수2의 이름; ………… } 구조체 변수 이름; //구조체 선언 구조체 멤버 접근 멤버 접근 연산자(.)를 사용하여 구조체에서 구조체 멤버로 접근할 수 있음 형식 : 구조체..